군산 사무실 네트워크 공사 – 몰딩 마감으로 깔끔하게
군산에 위치한 사무실에 네트워크 작업을 한곳입니다
사무실 이전을 하면서 새롭게 네트워크환경을 구축을 해야해서 작업을 다녀왔습니다
이 현장은 모뎀이 사무실 내부에 있지 않고 외부 분전함까지만 들어와 있고
사무실 내부에는 벽 포트가 준비 되어 있어서
이부분을 고려해서 작업을 진행을 했습니다
사무실 구성
–> 공간에 맞는 맞춤형 네트워크 설계
이번 사무실은 총 세 가지 주요 구역으로 나눌 수 있었습니다:
책상 4개 구역
-> 메인 사무 공간
단독 책상 1개 공간
–> 창가에 위치해서 업무 공간 및 테이블이 위치해 작은 회의실공간
> 별도 독립 공간
복사기 위치
–> 벽면 고정
총 7곳에서 인터넷이 사용되어야 했으며,
모든 공간에 안정적인 회선 공급이 필요한 상태였습니다.
네트워크 중심 : 분전함 + 공유기 → 허브 활용한 분기
기존 인터넷 회선은 건물 분전함까지 인입되어 있었고,
모뎀은 분전함 내부에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이 모뎀에 공유기를 함께 설치함으로써
내부 전체에 인터넷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했는데요
공유기 하나로 전체에 분배하면 포트가 모자라기에
책상 4개가 모여 있는 구역에는 허브(스위칭 허브)를 설치하여
그곳에서 다시 4개의 책상으로 라인을 분기하는 구조로 구성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어요
1. 나중에 포트 추가 시 확장 용이
2. 배선 정리가 훨씬 깔끔해짐
허브는 책상 밑에 숨겨지도록 배치 했으며, 전원 선과 데이터선 분리해서
노이즈 간섭이나 연결 오류를 최소화
벽면 복사기 – 깔끔한 라인 구성과 몰딩 시공
복사기는 벽면에 위치해 있었기에
별도의 케이블연장 없이 벽면 포트에서 바로 연결 했어요
복사기는 네트워크 연결이 잘 되지 않으면 스캔 기능,
원격 인쇄 등이 제한되기 때문에 전용 라인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작업에서도 테스트기기로 체크하여 이상 없이 마무리했습니다.
대표실 – 독립된 공간, 별도 라인 구성
대표님실은 독립된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었기 때문에
벽면 포트에서 케이블을 케이블을 설치를 했어야 했어요
벽면에 있는 포트와 책상이 반대편에 위치해 있었기에
케이블을 몰딩으로 처리해서 테이블 아래까지 라인을 정리한 후, 네트워크 상태를 점검한 결과 이상 없이 수신되는 것 확인했습니다.
이번 군산 사무실 네트워크 공사는 단순한 배선 작업이 아닌, 공간 구성과 업무 동선을 고려한 설계부터 시공까지 포함된 전문 작업이었습니다.
1. 분전함 중심 공유기 구성
2. 책상 구역 허브 활용한 확장성 확보
3. 노출되는 부분은 몰딩 마감으로 깔끔한 시공
4. 전 구간 테스트
사무실의 인터넷 환경은 업무의 핵심입니다.
불안정하거나 정리되지 않은 네트워크 환경은
업무의 생산성을 떨어뜨릴 수밖에 없습니다.
이처럼 맞춤 설계와 세심한 시공이 이루어져야
효율적이고 만족도 높은 결과로 이어집니다.